반응형 육아/배움5 분수를 쉽게알려주자. https://www.youtube.com/shorts/sXZhFkhTNP0요약드라마 환상의 짝꿍중 한 장면.상실이가 아이중 한명이 수를 세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초콜릿을 가지고 수 세는 방법을 알려줌. 위 짤을 보니,울 아이에게 분수를 알려준 방법이 생각나 적어본다.수포자가 되는 가장 첫 단추. 분수.수포자가 되는 중간 다리들이 있다.그 가장 처음이 분수.그리고, 소수.도형.... 분수에 개념이 안잡히면그 다음 나오는 것들은 모두 줄줄이 사탕이다. 보통 일반 학원에서는문제 풀이 위주로 이를 확인 하니요령만 생기고 그 개념을 이해했는지 확인하지 않는다.분수의 개념은 수를 알고 세기 시작 하면 알려줘보자.분수를 알려주라는 것이 아니다.분수의 개념.그러니까.온전한 1이 아닌 경우가 있고이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 2025. 2. 2. 아이들의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3naA5Rjg5W0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교육시스템SNS등등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이 자본주의 사회에서이제 알게 된 것이라고 본다. 내가 공부를 해봤자나에게 도움이 안된다는 사실을. 교육이 의무이자 권리라고 하지만,국가 차원에서 출산과 교육은사회에 노동력을 공급 하는 과정. 가정에서 시간과 돈을 쏟아부어사회에 기어할 수 있는 노동력을 공급 해야하는데,이게 노력대비 수입이 불확실 하고,그나마 좋은 자리는 누군가가 계속 사다리를 치워버리는 현실을알게된 것이다. SNS에 수 많은 자랑질을 보다보면,내가 공부를 해서는 그 모습따라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니공부를 왜 해야하나? 과거에는아이들 몰아 넣어두면주변에서 하니까 나도 그냥 끄적끄적이라도 했고뭐.. 2025. 1. 23. 아빠의 이미지를 만들어 가는 가장 확실한 방법. - 엄마. 이런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해왔지만,그 시절 TV에 나온 아동 전문가라는 이들은나의 생각과 거리가 멀었으니그냥 헛소리로 취급 되던 이야기. 하지만, 요즘에는 SNS발달로많은 전문가들이 이야기를 해주니주절 거려본다. https://www.youtube.com/shorts/dZwOWci3XJE 공개재판에 세워진 고립된 엄마.아이와 엄마가 티격태격언성이 높아질 때아빠가아이와 함께 엄마에게지적질을 해대기 시작하면,엄마는 심판대에 올려졌다. 자신이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지적을 받고 있고,이것을 방어하지 못하면말의 무게가 떨어진다. 말의 무게를 지키기 위해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억지를 쓰게 된다면싸움의 영역을 키우는 일이지만,싸움의 당사자가 아닌제 3자가 끼어들어일방적으로 한쪽을공격하는 것은엄마를 고립시키는가족의 미래를.. 2025. 1. 17. 눈높이 교육은 장황한 설명도 물리적 눈높이도 아니다. - 진정한 눈높이 육아에 대해. 사람들이 오해하는 눈높이 교육일반적인그리고 매우 아름다운 모습의 눈높이 교육은 위 그림과 같을 것이다. 하지만,저건 미술관이라는 공간,그러니까 아이들도 선생님도 특별한 목적이 분명한 장소이기에맞춰줄 수 있는 상황.물리적인 눈높이가 필요한 상황이라일반적인 상황이 아니다. 부모와 아이에게 문제가 되는정말 필요한 눈높이는물리적인 눈높이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심리적인 눈높이다. 이런 상황에서물리적인 눈높이 맞췄다고대단한 것 했다 생각하는 이들은자세히 읽어보자.아이들에게 장황한 설명아이들 많은 곳을 돌아다니다 보면,부모가 아이와 눈 높이를 맞추고서열심히, 차근차근뭔가를 설명 하는 모습을볼 수 있다. 이제 말을 떠듬 떠듬 시작 하는 아이로 보이는데,마트의 내려가는 무빙워크에서앞으로 가다가 아빠를 밀었어.그랬더니 엄.. 2025. 1. 17. [Sales의 기본] Can you please sell me this pen? https://www.youtube.com/shorts/eooPilQCYNI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Sales는 상대의 needs,상대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내는 것이 먼저.그리고,상대가 그것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만드는 것. 복잡하게 돌려말하지 않고간단히 표현 하면결국 무언가를 위한 동기이며이 동기를 부여하고부여받기 위해서는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무언가를 알아야만 한다. 위 내용에서소비자를나로 바꿔 다시 생각해보자.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내가 무언가를 하기 위한 동기를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어른들이 시키는 일만 하면모든것이 잘 될것이라 믿고 살았던 이에게세상의 자연 스러운 일들을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위인들의 태반은반 사회적 부적응자였다는 것. 아이들에게.. 2024. 8. 31. 이전 1 다음 반응형